70대 이상이라면 꼭 확인!
70대 이상이라면 꼭 확인! 매달 지급되는 복지 혜택
“나이만 들었을 뿐인데 혜택이 이렇게 많다고?”
많은 70대 이상 어르신들이 실제로 누릴 수 있는 정부 복지 혜택을 제대로 몰라서 놓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.
특히 매달 지급되는 복지 혜택들은 생활비를 절감하고 건강을 챙기며, 노후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됩니다.
오늘은 **70세 이상 어르신이라면 반드시 확인하고 신청해야 할 ‘정기 복지 혜택’**을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.
부모님이 70대 이상이시라면 꼭 공유해 주세요.
1. 기초연금: 매달 최대 33만 4천 원
만 65세 이상 어르신 중 소득 하위 70%에 해당한다면 기초연금 수급 대상입니다.
2024년 기준 최대 334,000원/월까지 지급되며, 신청만 하면 받을 수 있는 대표 복지입니다.
-
단독가구 기준 소득인정액 202만 원 이하
-
부부가구 기준 323만 2천 원 이하
-
국민연금 수령자도 중복 수급 가능 (단, 일부 감액될 수 있음)
70대 이상 어르신 중 상당수가 해당 기준에 포함되므로, 신청만 하면 바로 수급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.
2.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: 월 최대 66만 원
만약 소득이 더 낮고, 재산도 많지 않다면 기초생활수급자로 선정될 수 있습니다.
기초생활보장제도는 생계급여뿐만 아니라 주거·교육·의료급여까지 함께 제공되므로 매우 강력한 제도입니다.
-
1인 가구 기준 월 생계급여 약 66만 원
-
의료급여 전액 또는 90% 지원
-
주거급여: 월세 지원 또는 자가주택 수선비 지원
-
70세 이상은 ‘노인 우선 심사 대상’으로 빠르게 선정 가능
기초연금과 중복 수급은 가능하지만 일부 조정될 수 있으므로, 주민센터 상담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3. 노인장기요양보험: 돌봄 서비스 전액 지원
70대 이상 어르신 중 거동이 불편하거나 치매, 중풍, 파킨슨 등 노인성 질환이 있는 경우,
장기요양등급 판정을 통해 월 수십만 원 상당의 돌봄 서비스와 복지용구를 사실상 무상으로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.
-
등급에 따라 방문요양, 주간보호, 단기보호, 시설입소 등 제공
-
복지용구(전동침대, 보행기 등) 월 16만 원 한도 내 무료 대여
-
저소득층일 경우 본인부담금 최대 면제
특히 75세 이상 고령자는 등급 판정 시 의사 소견서 제출만으로도 신청 가능, 심사 기준이 완화되어 있습니다.
4. 노인 일자리 참여 수당: 월 30만 원 내외
“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면, 여전히 일하고 싶다.”
이런 어르신들을 위한 정부 사업이 바로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입니다.
-
공공형: 경로당 관리, 공원 청소 등
-
사회서비스형: 돌봄 서포터즈, 교통안전 도우미 등
-
시장형: 실버카페, 협동조합형 사업
✔ 참여자에게는 월 27만 원~30만 원 내외의 활동비가 지급되며,
기초연금, 기초생활수급과도 중복 수급 가능합니다.
5. 지자체별 현금·현물 지원도 다양
많은 지자체들이 70세 이상 고령자를 위한 자체 복지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
이 중 상당수는 매달 지급되거나 정기적으로 제공되는 형태입니다.
예시로는:
-
서울 송파구: 70세 이상 독거노인 월 3만 원 현금 지원
-
경기 광주시: 기초연금 수급 어르신 대상 매월 김치/쌀 현물 제공
-
부산 연제구: 경로식당 이용 시 교통비 월 2회 환급
※ 지자체 홈페이지나 읍·면·동 주민센터에 문의하면 본인의 연령에 맞춘 혜택을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.
결론: 70대가 되었다면 ‘혜택의 문’이 열립니다
70세 이상이 되면 받을 수 있는 복지혜택의 수와 범위가 확연히 넓어집니다.
✔ 기초연금
✔ 생계·주거급여
✔ 장기요양서비스
✔ 일자리 참여 수당
✔ 지역 맞춤형 현금·현물 지원
이 모든 혜택은 단 한 가지 조건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.
바로 **‘신청’**입니다.
몰라서 못 받는 것만큼 억울한 일은 없습니다.
지금 바로 본인이나 부모님의 주민센터, 국민연금공단, 건강보험공단 등에 문의해 보세요.
매달 지급되는 혜택, 놓치지 마세요.